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8)
박인환 시인 소개와 시 박인환 시인 소개 1926년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상동리에서 면사무소 직원이었던 아버지 박광선과 어머니 함숙형 사이에서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인제공립보통학교를 다니다가 부친과 함께 상경하여 경성덕수공립소학교(現 서울덕수초등학교)에 전학하여 졸업하였다. 이어 경기공립중학교에 진학하였는데, 재학 중에 교칙을 어기며 영화관을 출입한 것이 문제가 되어 중퇴하였다. 이후 한성학교 야간부를 다니다가, 황해도 재령의 명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부친의 강요로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으나, 8.15 광복으로 졸업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한 뒤 서울로 내려와 종로에서 마리서사(茉莉書肆)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절친이자 선배 시인 오장환의 낙원동 남만서점을 해방 후..
한용운 시인 소개와 시 소개 한용운 시인 소개 한국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 불교사회주의자. 속명은 정옥(貞玉), 법명은 용운(龍雲), 호는 만해(萬海)이다.3.1 운동을 계획하고 독립선언서 작성에 함께 했다. 민족 세력을 규합해 독립운동을 하고 일제의 압력에 조금도 굴하지 않았으며, 시인으로서 주옥같은 작품들을 통해 한글 문학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고, 승려로서 매너리즘에 빠져있던 조선 불교의 개혁에도 앞장섰다.  평소 입이 거칠고 곡차를 좋아해 괴짜 스님으로도 유명했다.1879년 8월 29일,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에서 부농인 아버지 한응준과 어머니 방 씨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고향에서 한학을 배웠고 18세 때인 1896년(또는 1897년) 고향을 떠나 백담사 등을 전전하며 수년간..
신경림 시인 소개와 시 소개 신경림 시인 소개 1955년 문학예술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이 추천돼 등단한 고인은 농민과 서민 등 기층 민중의 고달픔을 따뜻하고 잔잔한 감정으로 달래는 시들로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한국의 대표 시인 중 한 명이다.        1935년 4월 6일 충청북도 충주군(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상입장에서 면서기를 지낸 아버지 신태하와 어머니 곡산 연씨 연인숙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노은초등학교와 충주사범학교병설중학교, 충주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2024년 5월 22일 오전 8시 17분 항년 89세로 사망했다.1956년에 등단하여 '낮달', '갈대', '석상' 등의 시를 발표하였다.데뷔한 이래로 10여 년 동안 시를 쓰지 않았으나, 1965년 겨울 동료 시인..
박재삼 시인 소개와 시 소개 박재삼 시인 소개 김소월 이후, 한국 서정시의 전통적 음색을 재현한 독보적인 시인으로 소박한 일상 생활과 자연에서 소재를 찾아 섬세하고도 애련한 가락을 노래했다.      생애1933년 4월 10일, 일본에서 출생하여 4살 때인 1936년 7월에 어머니의 고향인 경상남도 삼천포시 서금동 72번지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박재삼 시인의 아버지인 박찬홍은 지게 노동으로, 어머니인 김어지는 생선 행상으로 가족을 부양하였다고 한다. 1946년, 삼천포초등학교를 졸업 후 3천원이 없어 신설된 삼천포중학교에 진학 하지 못하고 신문배달을 하던 중 삼천포여자중학교의 가사 담당 여선생의 도움으로 그 학교 잔심부름꾼으로 들어갔고 교장의 도움으로 이듬해인 1947년, 삼천포중학교 병설 야간중학교에 입학하여 낮에는 여중에서 잔심..
정호승 시인 소개와 시 소개 정호승 시인 소개 정호승( 1950년 1월 3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났고, 초등학교 1학년 때 대구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중학교 1학년때 은행에 다니던 아버지가 사업에 실패하여 도시 변두리에서 매우 가난한 생활을 해야 했다. 경희대가 주최한 전국고교문예 현상모집에서 “고교문예의 성찰”이라는 평론으로 당선되어 문예장학금을 지급하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을 졸업했다.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첨성대〉가 당선되어 시인이 되었으며,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위령제〉가 당선되어 소설가로도 등단하였다. 개인적 서정을 쉽고 간명한 시어와 인상적인 이미지에 담아냈다는 평으로, 소월과 미당을 거쳐 90년대 이..
시인 오장환 소개와 시 소개 시인 오장환 소개 오장환(1918년 5월 15일 ~ 1951년)은 한국의 시인이다. 서정주, 이용악과 함께 1930년대 시단의 3대 천재, 또는 삼재(三才)로 불렸다.      《낭만》, 《시인부락》, 《자오선》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서정적인 시와 동시 등을 발표하였으나, 해방 이후 급격한 변화를 보이면서 현실 참여적인 시들을 창작하던 중 월북했다. 1935년 1월 26일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어린 나이에 데뷔한 그는 1930년대에 유행하던 모더니즘 경향을 따르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36년 11월 《낭만》과 《시인부락》 동인으로 참여하였고, 동인들과 교류하며 동인지 제작을 주도하였다. 그 해에 첫 시집 《종가》를 출판하려 하였으나, 〈전쟁〉의 검열로 무산되었다. 19..
괴테 소개와 시 소개 작가 소개 요한 볼프강 폰 괴테(독일어: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년 8월 28일~1832년 3월 22일)는 독일의 고전주의 성향 작가이자 철학자, 과학자이다. 바이마르 대공국에서 재상직을 지내기도 하였다.      생애괴테는 1749년 8월 28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태어났다. 왕실고문관인 아버지 요한 카스파르 괴테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시장의 딸인 어머니 카타리네 엘리자베트 텍스토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 불어, 영어, 이탈리아어 등을 배웠고,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학과 성경을 읽었다. 그는 북독일계 아버지에게서 '체격과 근면한 생활 태도', 남독일계 어머니에게서 예술 사랑과 '이야기 짓는 흥미'를 이어받았다. 어린 나이에 신..
나혜석 소개와 시 소개 나혜석 소개 나혜석 : (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아명(兒名)은 나아지(羅兒只), 나명순(羅明順)이며, 아호는 정월(晶月)이다.        晶月 나혜석(1896-1948)은 한국 근대여성문학의 선구자이며,개화기 여 성해방운동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한국 최초의 여성화가로서뿐만 아니라 1920년대 여성문인 가운데 가장 논리적이고 명쾌한 문장으로 시, 소설을 비롯한 희곡, 수필, 산문 등 많은 글 1)을 썼으며, 이를 통해 여권신장, 민 족 계몽 교육과 남녀평등을 주장한 시대를 앞서 나간 다재다능한 여성문학가이다. 일본 도쿄 여자미술학교 유화과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1918년 귀국하여 화가,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하였다. ..
잉게보르크 바하만 소개와 시 소개 잉게보르크 바하만(Ingeborg Bachmann, 1926년 6월 25일 - 1973년 10월 17일)은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시인이자 소설가로, 20세기 독일어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녀의 작품은 주로 실존주의, 여성주의, 그리고 인간의 내면 갈등을 탐구하는 내용으로 유명합니다.        생애와 작품초기 생애바하만은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비엔나 대학교에서 철학, 심리학, 그리고 독일문학을 공부했으며, 1950년에 마르틴 하이데거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문학 경력1953년 첫 시집 《Die gestundete Zeit》(연기된 시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녀의 시는 전후의 불안과 존재의 무의미함을 표현하며, 인간의 내..
만해 문학상 만해문학상(萬海文學賞)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의 업적을 기념하고 문학 정신을 계승해 민족문학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1973년 제정된 대한민국의 문학상이다. 창작과비평사에서 제정했으며, 제1회와 제2회 시상 이후 중단되었다가 《창작과 비평》이 복간된 1988년 이후 다시 재개되었다.매년 최근 3년 간 한국어로 된 문학(시집, 소설집, 장편소설, 희곡집, 평론집 등)을 대상으로 한다. 제14회까지는 시인, 소설가만 수상했지만, 제15회부터는 학자와 평론가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제19회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가 선정되었다. (위키백과)       역대 수상작품들 제1회1974년시인신경림시집 《농무》제2회1975년소설가천승세단편 "황구의 비명", "폭염"제3회1988년시인고은시집 《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