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정희

(5)
문정희 시인의 시 10편 한계령을 위한 연가​한겨울 못 잊을 사람하고한계령쯤을 넘다가뜻밖의 폭설을 만나고 싶다​뉴스는 다투어 수십 년 만의 풍요를 알리고자동차들은 뒤뚱거리며제 구멍들을 찾아가느라 법석이지만한계령의 한계에 못 이긴 척 기꺼이 묶였으면.​오오, 눈부신 고립사방이 온통 흰 것뿐인 동화의 나라에발이 아니라 운명이 묶였으면.​이윽고 날이 어두워지면 풍요는조금씩 공포로 변하고, 현실은두려움의 색채를 드리우기 시작하지만헬리콥터가 나타났을 때에도나는 결코 손을 흔들지 않으리.헬리콥터가 눈 속에 갇힌 야생조들과짐승들을 위해 골고루 먹이를 뿌릴 때에도​시퍼렇게 살아 있는 젊은 심장을 향해까아만 포탄을 뿌려 대던 헬리콥터들이고란이나 꿩들의 일용할 양식을 위해자비롭게 골고루 먹이를 뿌릴 때에도나는 결코 옷자락을 보이지 않으리.​아름다..
'꿈'에 관한 시 10편 소개 꿈에 관한 시 10편 소개 꿈이생진이 세상에 없는 여자를꿈에서 안아 보고 기뻐했다꿈이 시키는 대로 간음하다가사람에게 들키고는밤새 부끄러워 얼굴을 못 들었는데날이 새어 꿈임을 알고 안심했으나그녀가 없는 세상임을 알고는다시 실망했다 (이생진·시인, 1929-)          새벽의 꿈손희락  깊은 잠 꿈속에서그립던 사람 만나서행복했는데홀연히 사라져 버린새벽 4시 40분입니다 이야기꽃 피우던순간들이 아쉬움으로 남아억지로 눈을 감고잠을 재촉해 보아도 깨어버린 잠 열려 버린 새벽은변함없이 찾아오는한 사람의 방문자를 맞습니다 꿈속의 미소를현실로 만날 수 있다면얼마나 좋겠습니다그리움의 갈증에 냉수만한 사발 들이킵니다 (   꿈조병화 내 손길이 네게 닿으면넌 움직이는 산맥이 된다내 입술이 네게 닿으면넌 가득 찬 호수..
커피에 대한 시 10편 그냥 커피오탁번 ​ 옛날다방에서 그냥커피를 마시는 토요일 오후 ​산자락 옹긋옹긋한 무덤들이 이승보다 더 포근하다 ​채반에서 첫잠 든 누에가 두잠 석잠 다 자고 섶에 올라 젖빛 고치를 짓듯 ​옛날다방에서 그냥커피 마시며 저승의 잠이나 푹 자고 싶다 ​       그렇게 소중했던가이성복​​버스가 지리산 휴게소에서 십 분간 쉴 때, 흘러간 뽕짝 들으며 가판대 도색 잡지나 뒤적이다가, 자판기 커피 뽑아 한 모금 마시는데 버스가 떠나고 있었다. 종이컵 커피가 출렁거려 불에 데인 듯 뜨거워도, 한사코 버스를 세워야겠다는 생각밖에 없었다. 가쁜 숨 몰아쉬며 자리에 앉으니, 회청색 여름 양복은 온통 커피 얼룩, 화끈거리는 손등 손바닥으로 쓸며, 바닥에 남은 커피 입안에 털어 넣었다. 그렇게 소중했던가, 그냥 두고 올 ..
문정희 시인 소개와 시 소개 문정희 시인 소개 1947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성장했다. 동국대학교 국문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학위 취득.      1969년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문정희 시집', '새떼', '혼자 무너지는 종소리', '찔레', 아우내의 새', '남자를 위하여', '하늘보다 먼곳에 매인 그네', '별이 뜨면 슬픔도 향기롭다', '남자를 위하여', '오라, 거짓 사랑아',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나는 문이다', '오라 거짓 사랑아', '다산의 처녀' 등이 있다. 시선집 '어린 사랑에게', 시극집 '도미', 미국 뉴욕에서 영역 시집 'Wind flower', 'Woman on the terrace' 가 출판되었고 그 외에도 독일어, 스페인어,..
안개 노인 안개 노인 문정희 안개 벗어나니 또 안개 이윽고 아름다움도 위험도 없는 허허벌판이다 영원한 잠이 바짝 쫓는 것 말고는 급할 것이 없다. 걸어온 길에 대해 할 말은 좀 있지만 노동력 없는 무산자 계급으로 그만 입 다물기로 했다 무릎과 치아의 통증에다 핏빛 네온 휘황한 자본주의를 칙칙하게 만든 죄로 그늘에서 어슬렁거린다 그래도 정체불명의 이름 어른신이라 어르며 지하철과 고궁이 두루 공짜 아닌가 장수 시대 알토란 같은 의료보험을 잘라먹는다고 한쪽에선 폐기물 보듯 하지만 파고다공원을 차지한 이도 있다 한다 까짓것 오늘 점심에는 식판을 들고 굽은 어깨로 절이나 교회의 무료 급식대 앞에 줄이나 서 볼까 공동묘지 비슷한 색깔의 검버섯 핀 얼굴로 얻어먹는 한 끼의 선심은 얼마나 새로운 맛일까 언제부터 나이가 곧 늙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