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성복 시인 소개와 시 소개

이성복 시인 소개

 

이성복 시인 소개

 

 

 

 

 

 

1952년 6월 4일,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읍 오대리(현 상주시 오대동)에서 아버지 이한구(李漢求)와 어머니 송정남(宋丁男) 사이의 5남매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서울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하여 1978년 졸업하였다. 1982년에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1990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대구광역시 소재 계명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1999년 문예창작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현재 명예교수.


1977년, 계간 『문학과 사회』에 시 <정든 유곽에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82년 제2회 김수영문학상, 1990년 제4회 소월시문학상, 2004년 제12회 대산문학상, 2007년 제53회 현대문학상, 2014년 제11회 이육사시문학상을 수상했다.


1980년에는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가 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왔는데, 이것이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1980년대에 나온 시집 중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최승자의 <이 시대의 사랑>과 함께 한국 현대시의 방향을 결정지은 시집으로 꼽힌다. 다만 과작 성향이 짙어서 시집 숫자는 많지 않다. <호랑가시나무의 기억> 이후 10년 단위로 시집을 내는 중.


그렇지만 최근에 들어서면서 시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최근작인 래여애반다라 에서는 지나친 에고이즘과 자기를 전시하는 모습으로 시적 매력이 많이 반감되었다. 사실 시를 오랫동안 명징하고 반듯하게 쓰기란, 시 쓰는 사람으로 쉽지는 않지만, 예전만 못한 모습으로 여전히 시를 읽는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2016년 4월 24일에 모 아이돌의 입을 통해 이분의 작품이 언급되었다. 이날 방송된 tvN 예능 프로그램 뇌섹시대 문제적 남자에 출연한 블락비의 리더 지코는 최근 자신이 읽은 책으로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라는 책을 언급했다. 방송에서 저자의 이름은 나오지 않았으나, 사실 이 책의 정체는 바로 이성복 시인이 2011년에 낸 격언집이다.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1980, 문학과지성사) - 1992 개정판 * 제2회 김수영문학상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섬세한 감수성을 지녔으며 상상을 초월하는 언어 파괴에 능란한 이성복 시인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개인적인 삶의 고통을 보편적인 삶으로 확대하는 이성복 시인의 끈질기고 원초적인 싸움이 펼쳐진다. 고통 속에서 진실의 추구에서 얻어진 지혜를 담아낸 이 시집은 시인의 다양한 미발표시들을 포함했다.
저자
이성복
출판
문학과지성사
출판일
2023.05.30

 

 

남해 금산 (1986, 문학과지성사)

 
남해 금산
[문학과지성]을 통해 1977년 문단에 등단한 이성복의 시집. 따뜻하며, 고통스럽고, 아름다우며, 뛰어난 시 세계를 새롭게 보여주고 있는 시집이다. 서정적 시로 서사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이 시집에서 저자는 우리의 조각난 삶과 서러운 일상에 깔린 슬픔의 근원을 명징하게 바라보면서 비극적 서정을 결정적으로 드러낸다. 이 심오한 '바라봄 - 드러냄'의 변증은 1980년대 우리 시단의 가장 탁월한 성취로 보이고 있다. '문학과지성사시인선' 제52집이다.
저자
이성복
출판
문학과지성사
출판일
1986.07.01

 


그 여름의 끝 (1990, 문학과 지성사 * 제4회 소월시문학상 작품 수록

 

 
그 여름의 끝(리커버)
여름, 바다, 장마… 지난 시간을 뜨겁게 채워온 세 권의 시집을 이 계절의 시집으로 다시 만나다! “그 여름의 끝”을 향해 가는 길에서, “바다는 잘 있습니다”라는 안부를 마음에 품고,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통권 585호를 돌파하며 600호의 출간을 목전에 두고 있는 〈문학과지성 시인선〉은(2023년 6월 현재) 1978년 황동규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시의 오늘을 담아내며 한국 현대 시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전무후무한 시집 시리즈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오고 있는 디자인이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디자인은 초기의 판형, 용지, 제본 방식을 포함한 주 골격을 유지하되(오규원 디자인, 이제하 김영태 컷), 100호를 단위로 표지 테두리의 기본 색깔을 달리하고 내지와 표지에 쓰인 글꼴의 크기와 배치에 미세한 변화를 부여하는 선에서 본래 디자인의 전통성을 지켜왔다. 표지 전면의 액자 프레임과 시인의 독특한 캐리커처로 대표되는 시집의 얼굴은 그 과감한 색면 디자인과 압도적인 은유로 이 시집 시리즈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다. 시대를 앞서는 사유의 진폭과 언어 미학의 정수를 담아온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역사, 그 의미와 무게가 디자인에 고스란히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과지성사는 이러한 역사를 계속해서 써내려가는 가운데, 새로운 모색과 도전에도 주저하지 않는다. 개별 시집에 집중한 새로운 해석을 담은 디자인을 선보이는 리커버 작업이 그중 하나이다. 시작은 2020년, 문학과지성사 창사 45주년을 기념하여 ‘문학과지성 시인선 디자인 페스티벌’이란 기획으로 최승자, 허수경, 한강, 이제니 시인의 시집 리커버 한정판을 펴낸 것이었다. 시대와 세대를 가로지르며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아온 세 권의 시집은 시간을 뛰어넘어 다시, 지금-여기 도착하여 독자들에게 익숙한 시를 신선한 감각으로 새롭게 읽는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번에 두번째로 찾아온 ‘문학과지성 시인선 리커버 한정판’은 이성복의 『그 여름의 끝』, 이병률의 『바다는 잘 있습니다』, 박준의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3종이다. 각각 1977년, 1995년, 2008년에 문단에 나와, 세대는 다르지만 시대를 뛰어넘어 현재까지 많은 독자에게 꾸준히 사랑을 받는 시인들의 시집이다. 그 제목에서부터 이 여름을 시작하며 한 번 더 마음에 담아보고 싶은 이 세 권의 시집은 6월 14일부터 18일까지 코엑스 전시장에서 진행되는 2023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첫 선을 보인다. 3,000부 한정판으로 나왔으며, 도서전 이후 소진 시까지 시중에서 판매할 예정이다. 오롯이 한 시집의 울림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시의 집은 어떤 모습일지, 그 안에서 기존의 시들은 어떤 낯선 감정들을 불러일으킬지, 설레는 마음으로 독자들을 특별한 여름의 시 세계로 초대한다.
저자
이성복
출판
문학과지성사
출판일
2023.06.14

 

 

호랑가시나무의 기억 (1993, 문학과 지성사)
(시선집) 정든 유곽에서 (1996, 문학과 지성사)
아, 입이 없는 것들 (2003, 문학과 지성사) * 제12회 대산문학상

달의 이마에는 물결무늬 자국 (2003, 열림원) - 2012 개정판(문학과 지성사)

래여애반다라 (2013, 문학과 지성사) * 제11회 이육사시문학상, 제53회 현대문학상 작품 수록

어둠 속의 시 1976-1985 (2014, 열화당)

 

 

 

산문

이성복 문학앨범 - 사랑으로 가는 먼 길 (1994, 웅진지식하우스)

나는 왜 비에 젖은 석류 꽃잎에 대해 아무 말도 못 했는가 (2001, 문학동네) - 2015 개정판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 (2001, 문학동네) - 2014 개정판

오름 오르다 - 사진에세이 (2004, 현대문학)

 

 
오름 오르다
이성복 사진에세이 『오름 오르다』. 오름은 화산 폭발 후 용암이 굳어지며 만들어지는 산으로, 오름의 이미지에는 희생과 고통을 전제로 한 아름다움이 있다. 이 책은 제주관광대학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오랫동안 제주의 오름을 관찰하고 사진에 담아왔던 고남수의 작품과 작가 이성복의 에세이를 하나로 엮어냈다. 생생하게 펼쳐지는 제주 오름의 사진과 사진이 닿지 못하는 부분까지 이야기로 담아내며 사물, 기억, 존재의 비밀이 펼쳐지는 순간을 드러낸 이야기를 만나보자.
저자
이성복
출판
현대문학
출판일
2004.11.29


타오르는 물 - 사진에세이 (2009, 현대문학)

 

 
타오르는 물
이성복 두 번째 사진에세이 『타오르는 물』. ‘물’은 고정되지 않은 형태이지만 욕망과 에너지, 기억과 망각, 가능과 불가능 등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부분과 닮아있다. 이 책은 경일대 사진영상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대상을 재현하는 ‘스트레이트 포토’ 작업을 해온 이경홍의 작품과 작가 이성복의 에세이를 하나로 엮어냈다. 생생하게 펼쳐지는 ‘물’의 사진과 사진이 닿지 못하는 부분까지 이야기로 담아내며 순간과 영원이 하나 되는 찰나의 순간을 펼쳐내는 이야기를 만나보자.
저자
이성복
출판
현대문학
출판일
2009.12.22


사람은 시 없이 살 수 있는가 (2014, 열화당)
고백의 형식들 (2014, 열화당)
끝나지 않는 대화 - 시는 가장 낮은 곳에 머문다 (2014, 열화당)

 

시론, 문학론


프루스트와 지드에서의 사랑이라는 환상 (2004, 문학과지성사)
무한화서 - 2002~2015 (2015, 문학과지성사)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2015, 문학과지성사)
극지의 시 - 2014~2015 (2015, 문학과지성사)

 

 

 

 

 

 

이성복 시인 시 소개



그날



그날 아버지는 일곱 시 기차를 타고 금촌으로 떠났고

여동생은 아홉 시에 학교로 갔다

그날 어머니의 낡은 다리는 퉁퉁 부어 올랐고

나는 신문사로 가서 하루 종일 노닥거렸다

전방은 무사했고 세상은 완벽했다

없는 것이 없었다

그 날 역전에는 대낮부터 창녀들이 서성거렸고

몇 년 후에 창녀가 될 애들은 집일을 도우거나

어린 동생을 돌보았다

그 날 아버지는 미수김 회수 관계로 사장과 다투었고

여동생은 애인과 함께 음악회에 갔다

그 날 퇴근길에 나는 부츠 신은 멋진 여자를 보았고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면 죽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날 태연한 나무들 위로 날아오르는 것은 다 새가 아니었다

나는 보았다
잔디밭 잡초 뽑는 여인들이 자기 삶까지 솎아내는 것을,

집 허무는 사내들이 자기 하늘까지 무너뜨리는 것을 나는 보았다

새점 치는 노인과 편통의 다정함을 그날 몇 건의 교통사고로

몇 사람이 죽었고 그 날 시내 술집과 여관은 여전히 붐볐지만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

 

 

 

 

 



그 여름의 끝 ​


그 여름 나무 백일홍은 무사하였습니다.
한차례 폭풍에도 그다음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아

쏟아지는 우박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습니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넘어지면 매달리고 타올라 불을 뿜는 나무 백일홍

억센 꽃들이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피로 덮을 때,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남해금산



한 여자 돌 속에 묻혀 있었네

그 여자 사랑에 나도 돌 속에 들어갔네

어느 여름 비 많이 오고

그 여자 울면서 돌 속에서 떠나갔네

떠나가는 그 여자 해와 달이 끌어 주었네

남해 금산 푸른 하늘가에 나 혼자 있네

남해 금산 푸른 바닷물 속에 나 혼자 잠기네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봄은 오지 않았다 복숭아나무는

채 꽃피기 전에 아주 작은 열매를 맺고

불임(不姙)의 살구나무는 시들어갔다

소년들의 성기(性器)에는 까닭 없이 고름이 흐르고

의사들은 아프리카까지 이민을 떠났다 우리는

유학 가는 친구들에게 술 한 잔 얻어먹거나

이차 대전 때 남양으로 징용 간 삼촌에게서

뜻밖의 편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놀라움도 우리를 무기력과 불감증으로부터

불러내지 못했고 다만, 그전 해에 비해

약간 더 화려하게 절망적인 우리의 습관을

수식했을 뿐 아무것도 추억되지 않았다

어머니는 살아 있고 여동생은 발랄하지만

그들의 기쁨은 소리 없이 내 구둣발에 짓이겨지거나

이미 파리채 밑에 으깨어져 있었고

춘화(春畵)를 볼 때마다 부패한 채 떠올라왔다

그 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우리는 봄이 아닌 윤리와 사이비 학설과

싸우고 있었다 오지 않는 봄이어야 했기에

우리는 보이지 않는 감옥으로 자진해 갔다 ​

 

 

 

 

 

 

 

서시


간이식당에서 저녁을 사 먹었습니다

늦고 헐한 저녁이 옵니다

낯선 바람이 부는 거리는 미끄럽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여, 당신이 맞은편 골목에서

문득 나를 알아볼 때까지

나는 정처 없습니다

당신이 문득 나를 알아볼 때까지

나는 정처 없습니다

사방에서 새소리 번쩍이며 흘러내리고

어두워 가며 몸 뒤트는 풀밭,

당신을 부르는 내 목소리

키 큰 미루나무 사이로 잎잎이 춤춥니다

 

 

 

 

 

 

 

 

서해



아직 서해엔 가보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당신이 거기 계실지 모르겠기에 ​


그곳 바다인들 여느 바다와 다를까요

검은 개펄에 작은 게들이 구멍 속을 들락거리고

언제나 바다는 멀리서 진펄에 몸을 뒤척이겠지요 ​


당신이 계실 자리를 위해

가보지 않은 곳을 남겨두어야 할까 봅니다

내 다 가보면 당신 계실 곳이 남지 않을 것이기에 ​


내 가보지 않은 한쪽 바다는

늘 마음속에서나 파도치고 있습니다 ​

 

 

 

 

 

 

 

 

꽃은 어제의 하늘 속에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 속에 있지 않다

 

사람이 사랑 속에서

 

사랑하는 것이다

 

목 좁은 꽃병에

 

간신히 끼여 들어온 꽃대궁이

 

바닥의 퀘퀘한 냄새 속에 시들어가고

 

꽃은 어제의 하늘 속에 있다

 

 

 

 

 

 

 

차라리 댓잎이라면 ​



형은 바다에

눈 오는 거 본 적 있수?
그거 차마 못 봐요, 미쳐요


저리 넓은 바다에

빗방울 하나 앉을 데 없다니

차라리 댓잎이라면 떠돌기라도 하지 ​


형, 백 년 뒤 미친 척하고

한번 와볼까요,

백 년 전 형은 또 어디 있었수?

백 년 전 바다에

백 년 뒤 비가 오고 있었다, 젖은

그의 눈에 내리다 마는 나는 빗줄기였다

 

 

 

 

 

 




저렇게 버리고도 남는 것이 삶이라면

우리는 어디서 죽을 것인가

저렇게 흐르고도 지치지 않는 것이 희망이라면

우리는 언제 절망할 것인가 ​


해도 달도 숨은 흐린 날

인기척 없는 강가에 서면,

물결 위에 실려가는 조그만 마분지 조각이

미지의 중심에 아픈 배를 비빈다

 

 

 

 

기다림

날 버리시면 어쩌나 생 각진 않지만

이제나저제나 당신 오는 곳만 바라봅니다

나는 팔도 다리도 없어 당신에게 가지 못하고

당신에게 드릴 말씀 전해 줄 친구도 없으니

오다가다 당신은 나를 잊으셨겠지요

당신을 보고 싶어도 나는 갈 수 없지만

당신이 원하시면 언제라도 오셔요

당신이 머물고 싶은 만큼 머물다 가셔요

나는 팔도 다리도 없으니 당신을 잡을 수 없고

잡을 힘도 마음도 내겐 없답니다

날 버리시면 어쩌나 생각진 않지만

이제나저제나 당신 오는 곳만 바라보니

첩첩 가로누운 산들이 눈사태처럼 쏟아집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시영 시인 소개와 시 소개  (3) 2024.11.11
11월에 관한 시  (3) 2024.11.06
윤동주 시인 소개와 시 소개  (2) 2024.10.29
김주대 시인 소개와 시 소개  (4) 2024.10.26
함민복 시인 소개와 시 소개  (2)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