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혜석 소개와 시 소개

나혜석 소개

 

나혜석 : (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아명(兒名)은 나아지(羅兒只), 나명순(羅明順)이며, 아호는 정월(晶月)이다.

 

 

 

 

나혜석

 

 

 

 

晶月 나혜석(1896-1948)은 한국 근대여성문학의 선구자이며,개화기 여 성해방운동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한국 최초의 여성화가로서뿐만 아니라 1920년대 여성문인 가운데 가장 논리적이고 명쾌한 문장으로 시, 소설을 비롯한 희곡, 수필, 산문 등 많은 글 1)을 썼으며, 이를 통해 여권신장, 민 족 계몽 교육과 남녀평등을 주장한 시대를 앞서 나간 다재다능한 여성문학가이다.

 

일본 도쿄 여자미술학교 유화과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1918년 귀국하여 화가,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하였다. 1918년에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부로 돌아와 잠시 정신여학교 미술교사로 지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이후 1918년 12월부터 박인덕 등과 함께 만세 운동을 준비,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5개월간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그 뒤 1920년 김우영과 결혼, 그와 함께 만주와 프랑스 등을 여행하였으며 그림, 조각, 언론, 문필, 시 등에서 활동했다. 1927년 유럽과 미국 시찰을 가게 된 남편과 함께 여행길에 올라 '조선 최초로 구미 여행에 오른 여성'이라는 칭호를 얻게 됐다.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야수파, 인상주의, 표현파 등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체류 중 최린과 염문설이 돌았고 곧 귀국 후 그림 활동에 매진하였으나, 결국 외교관 최린과의 염문으로 이혼하게 된다. 그러나 뒤에 최린과도 헤어지게 된다.


1935년 정조 취미론을 발표, 순결과 정조는 '도덕도 법률도 아닌 취미'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자신의 아내,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순결함을 요구하면서 다른 사람의 아내나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성욕을 품는 한국 남자들의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비판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였고, 당사자들의 의견이 존중되지 않고 집안의 뜻에 따라 결혼하는 것에 대한 비판, 가정폭력을 일삼는 남성들에 대한 비판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의 유명한 신여성으로, 뛰어난 그림, 글, 시 등 다방면에 재주를 갖춘 근대 여성이었으며, 여성 해방, 여성의 사회 참여 등을 주장하였다. 박인덕, 김일엽, 허정숙 등과 함께 이혼 후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으로 유명하였다.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문재(文才)도 뛰어났으며, 일본 유학 때부터 여권신장의 글을 발표한 여권운동의 선구자이기도 하였다. 연기자 나문희(본명 나경자)의 고모할머니이기도 하다.


유년기


그에게는 이복 언니 나계석, 여동생 나지석, 오빠 나홍석, 나경석이 있었다. 아버지 나기정의 서녀인 이복 언니 계석은 일찍 시집을 갔고, 큰오빠 나홍석은 아들이 없던 큰아버지 나기형의 양자로 가게 되면서 혜석은 둘째 오빠 경석과 동생 지석과 함께 자라났다. 그중 경석은 늘 혜석의 보호자 노릇을 했다. 아버지 나기정은 깨인 인사였기에 아들 딸을 차별하지 않고 교육을 시켰고 나혜석은 어려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좋고 총명하였다고 한다. 일찍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한 나혜석은 수원 화성, 사도세자와 정조의 능침인 융건릉, 방화수류정, 서호를 찾아다니며 풍경 그림을 그리곤 하였다.

 

 

 

 

 

 



소녀 기와 중학 시절


 1910년(융희 4년) 6월 수원 삼일여학교(수원 매향중학교의 전신)에 입학하였다. 삼일여학교는 나혜석의 사촌오빠인 나중석이 1902년(광무 5년) 수원 보시동 북감리교회 내에 설립한 사립삼일여학당으로 1909년(융희 2년) 삼일여학교로 변경하였다. 나혜석은 1910년 신학제에 의한 제1회 졸업생 4명 중 한 명이었다.


1910년 삼일여학교 재학 중 나혜석은 월간지 '개벽'을 위해 단색목판화를 제작하였다. 나혜석의 단색목판화 '개척자' 제작 소식은 월간 '개벽' 13호에 게재되었다. 여학교 시절부터 그는 그림을 그리고 있어 오빠가 후원했다. 1910년 8월 삼일여학교를 졸업하였다.

 

 

 

 

 

 


여고 시절


나혜석은 1906년 수원 삼일여학교에 입학하면서 '명순'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리고 진명여학교에 편입한 이후 돌림자를 넣어 '혜석'으로 개명했다. 1913년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제3회 졸업생 7명 중 최우등으로 졸업했는데 그 사실이 신문에 보도되기까지 했다. 중등학교 졸업생이 신문에 소개될 만큼 당시 신교육을 받은 여성이 드물었다.

 

일본 유학을 하고 있던 둘째 오빠 나경석의 권유로 일본으로 유학, 여자 미술대학 전신인 여자 미술학교 유화과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오빠 나경석이 추천한 학교가 도쿄의 여자미술학교였다. 일본 유학의 배경에 대해서는 오빠 나경석의 권고 외에도 '신미술인 양화를 전공하기 위해서'였다는 설도 있다. 나혜석은 어렵게 일본 유학을 떠난 만큼 열심히 공부했고, 성적도 우수해 신문에 보도되기도 했다.

 

여자 미술학교 유화과(油畫科) 재학 당시 그는 서양화와 유화를 배웠지만 그밖에 미술 전반에 대한 것을 익혀 수채화, 조각, 목판화, 석각 공예, 서예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남겼다. 그가 도쿄 여자미술학교에 다닐 때 아버지가 또 다른 첩을 얻은 소식을 접한다.

 

일본 유학 중 그는 현지의 조선인 유학생 단체에도 가입하는 한편 학지광에도 글을 기고하여 동인으로도 활동하고, 조선인 유학생 단체에도 나갔다. 그는 우수한 성적과 달변으로 많은 친구들과 교제했는데 이광수, 안재홍, 염상섭, 신익희, 주요한, 김성수 등과 교류하였다. 그의 달변과 깔끔한 외모, 유창한 언변에 수많은 사람들이 매료되었다.

 

 

 

 

 

 


문필, 학예 활동


1914년 학지광(學之光)에 기고한 글 중 현모양처와 부덕을 비난한 글이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 현모양처는 이상을 정할 것도, 반드시 가져야 할 바도 아니다. 여자를 노예로 만들기 위하여 부덕(婦德)을 장려한 것이다.


한편 여자도 인간임을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는 계몽적 단편 '이상적 부인'을 쓰면서 이 소설에 매혹된 이광수와의 염문이 동경유학생들의 뜨거운 화젯거리가 되기도 했다.

 

1915년 4월 나혜석은 조선인 유학생들과 함께 주도적으로 재동경 여학생의 모임인 ‘조선여자유학생친목회’를 조직했다. 전영택과 이광수를 고문으로 특별 초빙하기도 했다.


일본 체류 중 오빠 나경석의 친구인 게이오 의숙 학생 최승구를 만나 연애하게 된다. 오빠인 나경석은 최승구와의 연애를 반대했으나 오빠의 반대를 거부하고 최승구와 연애를 계속하였다. 다행히도 나경석은 집안에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최승구는 시인과 작가로서 표현력이 뛰어났으나 불행히도 일찍 요절한다. 후일 엄상섭 등은 나혜석의 불행을 최승구의 죽음에서 찾기도 한다.

 

 

나혜석 둘째 아들 김진

 

 

 


여성 해방론 수용


그는 여자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는 생각을 스스로 자각, 여자도 남자와 똑같은 인간이며 똑같은 교육을 받고 인간답게 살 권리를 누려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동료 남녀 유학생들에게 귀국하면 딸과 누이들에게도 교육의 기회를 줄 것을 호소하였다.

 

한편 나혜석과 김일엽은 일본 유학 때 《세이토》(靑踏)라는 일본 최초의 페미니스트 잡지를 통해 여성 해방에 처음으로 눈뜨게 됐다. 특히 나혜석은 히라쓰카 라이초의 여자 해방론, 남녀 평등론 주장에 적극 공감하였다. 세이토 지를 구해서 읽어본 뒤 남녀평등론을 넘어 여성 해방론에도 관심 갖게 된다.


나혜석이 평생 가장 사랑했던 문학 작품은 그가 1921년에 한국어로 번역·연재까지 한 노르웨이 작가 입센의 인형의 집이었다. 그는 자유를 향해 남편과 자녀를 두고 간 <인형의 집> 주인공 노라의 운명을 자신이 닮아간다고 느꼈다.

 



 

 

 

 

시 소개

 

 

노라

 

나는 인형이었네

아버지 딸인 인형으로

남편의 아낸 인형으로

그네의 노리개였네

 

노라를 놓아라,

순순히 놓아다구

높은 장벽을 헐고

깊은 규문을 열어

자연의 대기 속에

노라를 놓아라


나는 사람이랴네

남편의 아내 되기 전에

자식의 어미 되기 전에

첫째로 사람이 되려네

나는 사람이로세

구속이 이미 끊쳤도다

자유의 길이 열렸도다

천부의 힘은 넘치네

 

아아, 소녀들 이어

깨어서 뒤를 따라오라

일어나 힘을 발하여라

새날의 광명이 비쳤네

 

 

 

 

 

 

앗겨 무엇하리, 청춘을

 

살이 포근포근하고

빗은 윤택하고

머리가 막고

눈이 말뚱말뚱하고

귀가 빠르고

언어가 명랑하고

태도가 날신하고

행동이 겸사하야

참새와도 갖고

제비와도 갓고

앵무와도 갓고

공작과도 갓다

나이 먹으면

주룸살이 잡히고

빗갈이 검어지고

머리가 희여지고

귀가 어둡고

눈이 흐려지고

말이 어둔해지고

몸이 늘신해지고

행동이 느러저

긔린과도 같고

곰과도 같고

물소와도 같다

이리하야
살날이 만튼

청춘은 가고

죽을 날이 갓가온

노경에 이른다

이엇지
청춘감을 앗기지 아니랴

그러나 나는 장차 올 청춘이

엇든들 앗겻슬는지 모르나

임의간 청춘을 앗기지 안나니

청춘은
들떳섯고

얕핫섯고

얄밧섯고 

짧았던 거시오

나이 먹고보니

침착해지고 깁고
두텁고

길다
청춘을
헛도이 보내

엿든들 앗기지 아닐배

아니나 빈틈업시

이용한 청춘을 앗길

무어시 잇스며 지난

청춘을 앗겨 무엇하리오

장차 올 노경이나

잘 마지러 하노라

 

 

 

 

 

 

 

고적

 

고적이 슬프다고

아니다 고적은 자미 잇는 것이다

말벗이 아쉽다고

아니다 自然과 말할 수 잇다

 

 

 

 

 

 

 

 

구교에서

 

 

펄펄 날든 저 제비

참혹한 사람의 손에

두 사지 두 다리 모두 상하엿네

다시 살어날냐고

발버둥치고 허덕이다

끝내 못 익이고

고만 척느러젓네 

그러나 모른다

제비에게는 아직 따듯할 기운이 잇고

숨쉬는 소리가 들닌다

다시 중천에  떠오를

活力과 용기와 인내와 노력이

다시 잇슬지

뉘 능히 알니가 잇스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 오장환 소개와 시 소개  (0) 2024.07.27
괴테 소개와 시 소개  (1) 2024.07.26
잉게보르크 바하만 소개와 시 소개  (0) 2024.07.24
만해 문학상  (0) 2024.07.21
에리히 캐스트너 작가 소개와 시 소개  (0) 2024.07.20